컨텐츠 바로가기


연구/실험 데이터

항혈전성 침구류 실험데이터
제목 항혈전성 침구류 실험데이터
작성자 대표 관리자 (ip:)
  • 작성일 2015-04-13 14:41:57
  • 추천 추천 하기
  • 조회수 1223
  • 평점 0점


[플라티나포톤 이불 30분 체험 후 혈류 측정 데이터 비교]


                  일반이불 혈류 측정 데이터            플라티나포톤이불 혈류 측정 데이터

   






[실시예 6] 항혈전성의 시험
A. 서언(緖言)
순환혈류는 생리적인 상태에서는 혈관 내에서는 응고되지 않고 유동성을 유지하여 순환되고 있다. 이것은 혈관 내피세포가 갖는 항혈전성과 혈액응고·선용계(線溶系)의 동적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혈소판·혈액응고인자는 지혈에 필요한 양의 수배∼10배나 혈액 속에 구비하고 있다. 그것에 대하여 응고제어계의 인자류의 수는 적고 혈중농도도 낮은 상태이다. 이 때문에 응고반응은 촉진계가 억제계에 비하여 우위로 되어 있지만, 내피세포 의존적으로효율좋게 제어되어 혈행이 유지되고 있다. 금회, 혈전상태로는 아니고, 혈전준비상태보다 더 정상에 가까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독(dock) 입원 20예의 대상의 이해와 협력에 의해 본 발명의 항혈전 성 침구 및 잠옷의 사용에 따른 응고·선용계의 변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B. 실험방법
대상 : 인간독(human dock) 입원 수진자 20명으로 하였다.
방법 : 대상을 엔벨로프법에 의해, Ⅰ군, Ⅱ군으로 나누었다. 대상을 이하와 같이(표 1 참조), 오후 2시부터 2시간, 2
종류의 침구 및 잠옷을 사용하여 낮잠을 자게 했다. 낮잠중, 실온은 24℃로 고정하고, 낮잠 전 1시간은 음수(飮水)를 금지하였다.


Ⅰ군 :

         제1일째 본 발명의 침구 및 잠옷(항혈전성 시트, 모포, 매트리스패드, 베개, 셔츠 및 바지)사용

         제2일째 통상의 침구 및 잠옷(시트, 모포, 매트리스패드, 베개, 셔츠 및 바지)사용


Ⅱ군 :

         제1일째 통상의 침구 및 잠옷사용

         제2일째 본 발명의 침구 및 잠옷사용 또한, 통상의 침구 및 잠옷은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 표 1 ]


(1) 시트
형상 : 플랫형, 폭 150㎝×길이 230㎝
섬유혼율 : 항혈전성 섬유 100%(폴리에스테르)
기타 : 평직(종사, 횡사 모두 항혈전성 섬유 100%)


(2) 모포
형상 : 양면 기모형, 폭 140㎝×길이 200㎝
섬유혼율 : 기모부-항혈전성 섬유 50%(폴리에스테르), 면 50%
기타 : 기모부-항혈전성 섬유(폴리에스테르) 면혼 40번수 쌍사 사용


(3) 매트리스패드
형상 : 폭 90㎝×길이 185㎝×두께 2㎝, 중량 1.5㎏
섬유혼율 : 안솜-항혈전성 섬유 100%(폴리에스테르)
겉생지-항혈전성 섬유 100% 생지(폴리에스테르)
기타 : 퀼팅(누비)가공


(4) 베개
형상 : 5분할 충전물(파이프) 미세조절 가능형, 폭 60㎝×높이 50㎝(전체)
성분 : 충전물-항혈전성 파이프 100%(폴리에틸렌), 본체주머니-면 100%, 본체커버-면 100%
기타 : 베개의 충전물(알맹이)을 5개의 메시주머니로 분할하여 충전함으로써, 머리의 위치의 미세조절을 가능하게 한
구조를 가지며, 5번째의 메시주머니는 본체커버에 장착하여 목에서 어깨 부분을 서포트하는 구조를 가졌다.


(5) 셔츠
형상 : 크루네크, 긴팔
섬유혼율 : 항혈전성 섬유 97%(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3% 생지 사용


(6) 바지
형상 : 긴 바지
섬유혼율 : 항혈전성 섬유 97%(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3% 생지 사용


(7) 시트
형상 : 플랫형 폭 150㎝×길이 230㎝
섬유혼율 : 면 100%
기타 : 평직(종사, 횡사 모두 면 100%)


(8) 모포
형상 : 양면 기모형, 폭 140㎝×길이 200㎝
섬유혼율 : 면 100%


(9) 매트리스패드
형상 : 폭90㎝×길이 185㎝×두께 2㎝, 중량 1.5㎏
섬유혼율 : 안솜-면 100%, 겉생지-면 100%생지
기타 : 퀼팅가공


(10) 베개
형상 : 5분할 충전물(파이프) 미세조절 가능형, 폭 60㎝×높이 50㎝(전체)
성분 : 충전물-폴리에틸렌 파이프 100%, 본체주머니-면 100%, 본체커버-면 100%
기타 : 베개의 충전물(알맹이)을 5개의 메시주머니로 분할하여 충전함으로써, 머리의 위치의 미세조절을 가능하게 한
구조를 가지며, 5번째의 메시주머니는 본체커버에 장착하여 목에서 어깨 부분을 서포트하는 구조를 가졌다.


(11) 셔츠
형상 : 크루네크, 긴팔
섬유혼율 : 폴리에스테르 100%생지 사용


(12) 바지
형상 : 긴 바지
섬유혼율 : 폴리에스테르 100%생지 사용
기간 : 2001년 2월 21일∼3월 15일까지


C. 검사항목
  1. 겨드랑이 체온, 체중

  2. 전체혈액점도, 혈장점도, 일반혈액검사 및 응고·선용계 기능
   ① APTT, PT, HPT, TT, ATIII, 카테콜라민(3종)
   ② P-셀렉틴, PAI-1, β-TG, TX-B2
   ③ t-PA, NO, PGI-2, TM, MDA-LDL


1. 및 2.는, 낮잠 직전 및 낮잠개시 2시간 후에 채혈하여 측정하였다. 채혈량은 30㎖/회 이었다. 모든 대상에 응고·선용계의 검사를 표 2와 같이 실행하였다.


[ 표 2 ]



3. 요골동맥 혈관경 입원중 임의의 시간에 측정하였다. 이상 검사시행상, 특히 채혈법에 있어서 조직액의 혼입이 있으면 측정값 변동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더블실린지법이나 유치침 설치법에 의해서 채혈을 시행하였다.


4. 연령분포에 대하여

20예의 증례를 49세까지와 50∼59세, 60세 이상으로 나누어 연령분포를 보면, 다음과 같았다.


연령 증례     평균연령
27∼49 8(1)     37.5
50∼59 6(3)     54.5
60∼71 6(4)     64.8


남성 12명 27세부터 65세 평균연령 45.1세
여성 8명 46세부터 71세 평균연령 59.4세
전체 평균연령 50.8세


D. 증례의 요인분석
독(Dock) 입원의 증례이므로, 건강상태에 관하여 질병의 유무와 일상생활상의 주의사항, 요정밀검사, 요치료의 판정이 되었다. 최근의 독검사는 생활습관병에 중점이 주어지고 있으므로, 이것에 준거하여 요인으로서 체중·지질·혈당치·동맥경화성 병변의 유무와 간기능장해에 중점을 두고 증례를 검토하였다.
상기의 각 요인에 대하여, 표 3과 같이 점수를 안분하고, 건강상태에 따라 정상예(A군), 타 질환예(B군)와 생활습관병 혹은 그 다수 요인예(C군)의 3군으로 나누고, A, B, C군의 각 요인에 대한 배점을 실시하면, 표 4, 표 5, 표 6과 같은결과로 되었다. 또한 통상의 침구 및 잠옷을 사용한 대조군을 K군, 본 발명의 침구 및 잠옷사용군을 PL군으로 하였다. K·PL군에 대응하여 생활습관병 관련요인에 따라서 배점 구분된 A·B·C군에 있어서 혈액응고·선용계의 변동을 검토하였다.


표 4, 표 5, 표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자세히 검토하면 건강한 상태에서 지질의 증가가 선행되고, 차츰 지질이 증 가함에 따라 체중증가, 동맥경화성 병변(끽연에 의해 증강), 당뇨병 및 간장해(주로 음주)가 발생하는 경향이 보여졌다.


[ 표 3 ]




[ 표 4 ]



[ 표 5 ]



[ 표 6 ]


E. 기준치내 변동에 대해서 입원 독에 관련한 일반채혈검사 이외에 응고·선용계에 관한 검사항목은 19종류로 다기에 걸쳐 있다.
K군(통상의 침구 및 잠옷사용)과 PL군(본 발명의 침구 및 잠옷사용)에 대해서, 각각 침구 및 잠옷사용 전후에 채혈하였다. 낮잠 전후의 검사에서 일반혈액검사(적혈구·백혈구, Hb, Ht, MCH, MCHC, PLT)와 응고능력 검사에서 TT(s,%), PT(s, %), APTT(s, %)와 전해질(Na, K, Cl, Ca)에 대해서, K·PL군의 각 A·B·C군에서 낮잠에 의한 영향은 정상인 기준치 내의 변화이고, 거의 큰차이 없는 변동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응고·선용계에 있어서의 낮잠에 의한 영향을 K·PL군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 낮잠 전 검사를 Before, 낮잠 후 검사를 After로서 표현하여 검토하였다.


F. 증례의 검토
① 혈관내피계(표 7 참조)
혈관 내피세포는 강한 항응고작용을 가지며, 강력한 음성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같은 음성전하의 혈소판과 서로 반발하고 있다. 또한 내피세포는 NO(일산화질소), PGI2(프로스타사이클린)를 방출하여 혈소판 기능을 억제하고, TM(트롬보모둘린), t-PA(tissue plasminogen activator)를 산생방출하여, 종합적으로 강한 항혈전 활성을 발휘하고 있다.
t-PA, PGF1α(6-케토-프로스타글란딘1α), TM, 아질산이온, 질산이온의 산생량에 관해서는 K·PL군의 낮잠 전후에 있어서, PGF만이 K군에서 낮잠 후에 약 10%의 증가가 보여지고, PL군에서는 약 10%의 저하경향이 보여졌다. t-PA, TM, NO에 관해서는 각각 기준치 내의 변동영역을 나타내었다.
혈관내피계에 관해서, PGF의 양이 K군 After에서 약 10%(5∼15%의 변동영역) 증가하고, PL군 After에서는 오히려약 10%(-7∼-27%의 변동영역)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점으로부터 혈소판 기능에 관해서 K군 After에서는 PGF증가경향으로 인해 혈소판에 대하여 억제적으로 작용하고, PL군 After에서는 PGF감소경향으로 인해 혈소판 기능을 촉진적(향혈전 형성)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 표 7 ]


 

혈소판계(8 참조)

PAI-1, P-셀렉틴, TX-B2, PLT의 변동은 혈소판 기능의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혈소판은 정상에서는 정적상태를 유지하여 혈관 내피세포 기능 우위의 상태에서 혈관 내피세포 표면의 당단백의 음성전하로 인해 서로 반발하여 혈소판의 혈관벽의 점착·응집이 억제되고 있다. PAI-1, P-셀렉틴, TX-B2, 혈소판 수의 변동은 표 8과 같다.

PAI-1KAfter에서 평균 21%의 저하경향(-7-33%의 변동영역), PLAfter에서는 평균 3.1%의 증가경향(-9.8+8.2%의 변동영역)이었다.

P-셀렉틴은 K·PLA군에서 증가경향, B·CK군에서 감소(-23-18.7%)하지만 PL군에서는 B·C는 경미하게 감소한다(-3-3.4%).TX-B2K-C군에서 뚜렷하게 증가하고 PL-C군에서는 명백하게 감소하고 있 다. PAI-1, P-셀렉틴은 K-PL을 통하여 미소하게 감소증가를 나타내고 있지만 TX-B2를 첨가하여 종합적으로 혈소판 기능을 검토하면, KAfter에서는 혈소 판기능은 전체적으로 촉진되어 혈전형성 경향을 향하며, PLAfter에서는 TX-B2의 감소경향이 보여지고, 혈소판 기능 억제로 인해 경향적으로는 항출혈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혈소판 내부에서의 트롬복산 A2의 산생의 저하, 저해를 의미하고, 본 발명의 항혈전성 섬유사용에 의한 혈소판 기능 활성화의 진정(鎭靜)을 나타내고 있다.


[ 표 8 ]


응고계와 그 관련물질(9 참조)

응고 제인자인 피브리노겐, 인자인 Ca ++ 와 트롬빈 제어인자인 안티트롬빈과 MDA-LDL을 일괄하여 검토하였다.

Ca이외의 전해질(K, Na, Cl)은 대부분 1mEq/L 내의 생리적 기준치 내의 변동에 따라 이동하고, TT, HPT의 변동도 매우 소범위의 변동이기 때문에 표로서의 검 토는 생략하였다.

MDA-LDL에 관해서도 K·PL군 모두 낮잠 후에 경미한 저하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정도의 변동에서는 MDA-LDL이 내피세포의 TM, t-PA의 발현을 억제하고, 조직인자 PAI-1의 발현을 강화해서 내피세포의 항혈전작용을 저하시킬 정도의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되었다.

PT, APTT에 관해서도, PTK·PL의 양 군에서 명백한 변동은 보여지지 않았다. APTTK군에서는 경미한 증가, PL군에서는 경미한 저하 경향이 보여지므로 내피인자계 응고반응계가 K군에 비해 PL군에서는 낮잠 후에 경미한 연장경향이 보여졌다.


[ 표 9 ]


기타, BV, PVCA(카테콜라민)(10 참조)


[ 표 10 ]

G. 고찰


F. 결론

웹페이지용량 부족으로인해 PDF파일에서 더 자세히 확인하세요^-^

▼첨부파일▼

첨부파일 침구류 실험데이터.pdf
비밀번호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목록

삭제 수정 답변

댓글 수정

비밀번호

수정 취소

/ byte


Cart 0

최근본상품